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이야기

노후 준비를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연금저축

by 펭귄도사 2021. 5. 16.
반응형

시간이 지날수록 노인인구는 증가합니다. 별 일 없으면 100세이상 살고 운 나쁘면 120세까지 산다고 하죠. 이제 노인인구의 증가는 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일 할 수 있는 나이는 얼마되지 않습니다. 40년 이상의 세월을 위해 60여년간 준비를 해야된다는 것이죠. 

다들 노후 준비는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혹시 '알아서 되겠지' 하는 터무니없는 생각을 갖고 계신건 아닌가요? 노후는 자신이 챙겨야합니다. 꼼꼼하게 준비해야 나중에 후회하지 않습니다. 30~40대도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 당장 시작하면 됩니다. 그 중에 꼭 해야하는 연금저축에 대한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 저축의 종류

  1. 연금 저축 신탁 -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금리가 낮은 지금은 추천하지 않는다.
  2. 연금 저축 보험 - 보험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정해진 금액을 정해진 날짜에 납입하는 것이다. 
  3. 연금 저축 펀드 -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자유롭게 입금하고 자신이 원하는 펀드나 etf를 구매할 수 있다.

연금 저축 계좌는 은행, 보험사, 증권사 에서 다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낮은 지금에는 다들 연금 저축 펀드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증권사에서 연금 저축 계좌를 만들고 etf에 투자 중입니다. 사람마다 투자 성향이 달라서 어떤것이 무조건 좋다고 하기에는 그렇지만, 아무래도 시장이 꾸준히 우상향 한다는 믿음이 있으시다면 증권사에서 연금 저축 계좌를 만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연금 저축 계좌의 세액 공제

연금 저축 계좌에 돈을 입금하면 펀드를 구매하지 않더라도 세액공제는 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공제율은 16.5%이지만 소득에 따라서 13.2%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최대 한도는 연 400만원으로 16.5%를 받게 된다면 66만원이라는 돈을 돌려 받게 됩니다. 

 

연금 저축 계좌 간단 정리

  • 16.5%의 높은 세액 공제
  • 특별한 직업이 아닌 평범한 직장인이라면 지금의 연금으로는 부족하다.
  • 총 한도는 1800만원으로 자신이 원하는 때에 입금할 수 있다.
  • 혹시나 사정이 생겨 출금해야 한다면 세액 공제 받은 금액은 토해내야 하니, 되도록이면 해지하지 않는다.
  • 자연스레 장기투자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 공부를 통해 장기적인 안목으로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짜서 투자해야 한다.
  • 이것저것 힘들다면 TDF를 알아보자.

연금 저축 계좌를 만들고 난 뒤 투자하는 것도 고민입니다. 어떤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지 다음에 정리를 해서 또 올려보겠습니다. 노후를 위해 꼭 늦지않게 연금 저축 계좌를 만드시길 권해드립니다.

 

 

반응형

댓글